본문 바로가기

긍정적행동지원2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정의, 연속적 행동지원 체계 개념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정의와 목적Sugai와 Homer(2009)는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란 학교 안에서 모든 학생들이 사회적 또는 학업적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지원하고 긍정적 사회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체계적 접근 방식이라고 했다.그들은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목적으로 학교의 시스템과 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통해 교사들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촉진하고 학생의 행동을 변화시켜 학교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에 있다고 했다.말하자면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교의 모든 구성원, 즉 학생과 교직원의 행동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려는 체계적이고, 긍정적이며, 예방적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따라서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생들이 사회적으로나 학업적인 면에서 성공할 수 .. 2024. 5. 27.
긍정적 행동지원(PBS)의 개념, 주요 요소 8가지, 실행 절차와 지원 긍정적 행동지원이란 문제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재구성하여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문제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즉, 문제행동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문제해결 접근법을 말한다. 응용행동분석의 내용에 문제행동 예방의 원리가 더해진 개념이다.  그동안 문제행동을 다루는 접근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사후 반응적이고 처벌적이던 이전의 대처는 혐오적 처치(aversive approach)의 시행과 같은 비윤리적 문제를 가져왔으며, 이에 대한 대안이자 보다 효과적인 지원 방안으로서 등장한 것이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al support: PBS)이다.  전통적행동수정은 문제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 등의 증감을 목표로 삼고 혐오처치.. 2024.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