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이론의 근본원리는 자극(Stimulus : S)을 주면 반응(Resronse : R)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행동주의 이론을 'S-R'이론이라고 한다.
행동주의에서는 자극(S)과 반응(R)에 기초해 행동의 기초 원리인 수동적 조건화(Respondent Conditioning)와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수동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수동적 소거, 수동적 행동, 작동행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수동적 조건화(Respondent Conditioning) : 고전적 조건화

Ivan Pavlov의 유명한 실험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개에게 음식을 줄 때 지속적으로 종소리를 들려주어 음식없이 종소리만으로 개가 침을 흘리게 되는 실험을 말한다.
그의 고전적 실험은 음식(침을 분비하는 자동적 반사)과 종소리(처음에는 개의 침흘리기에 아무 영향을 주지 못했던 것)의 짝짓기를 수반한다.
음식은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 US)이 되고, 침을 흘리는 반응은 무조건 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 UR) 이 된다.
처음에 종소리를 들려주면 개는 반응이 없다. 종소리는 어떤 반응도 이끌어내지 못하는 중성자극 (Neutral Stimulus : NS)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에게 음식을 줄 때마다 반복적으로 종소리를 같이 들려주면 음식과 종소리가 짝지어져 조건화가 일어난다.
조건화가 일어나면 개는 중성자극인 종소리만 들려주어도 침을 흘리게 된다.
여기에서 조건화가 된 후의 종소리는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 CS)가 되고, 조건화가 된 후의 침 흘리는 반응은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 CR)가 된다.
수동적 조건화는 특정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는 중성자극(NS: 종소리)이 무조건자극(US: 음식)과 연합하여 조건자극이 되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수동적 조건화는 중성자극(NS)이 무조건자극(US)의 바로 직전이거나 동시에 제시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중성자극(NS)의 제시와 무조건자극(US)의 제시 사이에 상당한 지연이 있거나 무조건 자극이 중성자극(NS)에 선행하게 된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작동적 조건화
'작동적 조건화는 출생에서 죽음까지 인간의 다양한 활동 속에서 관찰된다. 이것은 타고난 습관과 가장 창조적인 생각처럼 인간의 가장 섬세한 변별력과 섬세한 기술에서 나타난다
- Keller & Shoenfeld(19 50. p.64)

Skinner(1938)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Skinner 상자를 이용해 조작적 조건화를 실험하였다.
배고픈 상태의 흰 쥐가 Skinner 상자 안에서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지만 이 때 쥐는 지렛대와 먹이 간의 관계를 알지 못한다.
흰 쥐가 다시 상자 안을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다 나온다.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이 반복될 수록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된다.
여기에서 흰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Reinforcement)가 되었기 때문이다.
조작적 조건화는 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이것은 '행동에 대한 결과의 선택적 효과의 과정'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조작적 조건화에서 기능적 결과는 주어진 행동에 즉각적이고 일시적으로 뒤따르며 그 행동이 미래에 발생할 빈도에 영향을 주는 자극 변화이다.
"작동적 조건화에서는 반응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혹은 실제적으로 더 자주 나오게 '강화'시킨다(Skinner, 1953, p.5)."
조작적 조건화는 도구적 조건화(instrumental conditioning)이라고도 한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예로 아기가 손으로 모빌을 건드렸을 때 모빌에서 소리와 움직임이 많이 나게 되어 모빌 쪽으로 손을 더 많이 움직이게 되었다면 조작적 조건화가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의 후속 결과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행동과 후속결과 간의 기능적 관계 성립에 관심을 가진다.
먼저 제시된 행동주의적 견해는 조작적 조건화의 개념이며 응용행동분석에서 중요한 전제이다.
응용행동분석을 배우고 실행하는 교사는 학생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능적, 학업적 기술을 숙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부모나 다른 전문가에게 학생의 진전을 증명할 수 있다.
수동적 소거
Pavlov는 조건화된 자극(소리)이 무조건 자극(음식)없이 계속 제시되면 조건화된 반사가 약해져 결국 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만약 종소리가 음식과 함께 또는 소리 다음에 음식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침흘리는 반응(조건화된 반사)은 점차 사라진다.
이런 과정을 수동적 소거라고 한다.
수동적 소거는 조건화된 자극이 무조건 자극없이 반복적으로 제시되어 조건화된 자극이 더이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수동적 소거는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의 기본이 되며, 응용행동분석에서 불안을 감소시키는 중재에 사용되어 왔다.(Barrios&O`Dell, 1998)
수동적 조건화와 수동적 소거는 아동의 불안 행동을 지도하는데 효과적이다.
수동적 행동
수동적 행동은 선행자극에 의해 유도된 행동이다.
이것은 무조건 반응이 되기도 하고 조건 반응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밝은 빛(선행자극)은 동공수축(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나 유도된 자극이 짧은 시간 안에 반복 제시된다면 반응의 강도나 범위는 감소될 것이며 어떤 경우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반응의 강도가 점차 감소되는 과정을 습관화(Habituation)이라고 한다.
수동적 행동의 예로 신생아의 반사, 밝은 빛에 대한 동공 수축, 음식냄새에 대한 침 분비, 흥분에 대한 성적 각성을 들 수 있다.
수동적 행동의 형태는 개인의 일생 동안 거의 변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두 가지 예외가 있다.
첫째, 특정 반사는 성장과 함께 사라진다. 예를 들어 손바닥에 닿은 물건을 움켜잡는 반사는 생후 3개월 후에는 사라진다(Bijou & Baer, 1965).
둘째, 어떤 무조건 반사는 나중에 발생하는데 여기에는 성적흥분과 생식에 관련된 것들이 포함된다.
그러나 살아가는 동안 처음에는 중립적이었던 무수한 범위의 자극(예: 치과의 드릴 소리)이 반응(예: 심장박동과 호흡 증가)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응용행동분석가에게 수동적 행동은 관심있는 행동들의 일부에 불과하다.
"반사는 조건화되든 그렇지 않든, 대개 유기체의 내적 생리학과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대개 주변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에 관심을 갖는다(p.59)."
Skinner(1953)
작동 행동(Operant)
작동행동은 행동의 미래빈도가 일차적으로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모든 행동을 말한다.
선행사건에 의해 유발되는 수동적 행동과는 다르게 작동행동은 과거에 받았던 행동의 결과에 의해 선택되고, 형성되고, 유지된다.
수동적 행동은 형태와 기본 기능이 미리 결정(예: 침흘리기의 기본 형태와 기능은 같다.)되어 있으나 작동 행동은 형태의 범위에 제한이 없다.
작동 행동은 '의미'가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없다.
그 결과에 의해 기능적으로 정의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물을 달라고 하기 위한 조작에는 사람에 따라 동일한 형태가 아닌 컵 가리키기 행동, 사람 부르기 행동, 벨 누르기 행동등의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는 것이다.
작동행동의 또다른 예로 말하기, 걷기, 피아노치기, 자전거타기, 거스름돈 계산하기, 책읽기 등이 있다.
'손을 닦는 것'을 형태적으로 기술한다면 물이 손에 흐르게 두는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조작적'으로 정의하면 과거에 이런 식으로 행동했을 때 손이 깨끗해 졌다는 사실이다. 즉, 감염이나 전염의 위험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강화된 상태를 말한다. 정확하게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행동이라도 간단한 손의 자극(예: 간지럼)이나 손을 씻으라고 가르치는 사람을 모방하는 행동을 강화한다면 다른 조작으로 간주된다.(Skinner. 1958, p.127) |
수동적 행동과 작동행동의 비교 | ||
특징 및 요소 | 수동적 행동 | 작동행동 |
정의 | 선행자극에 의해 발생된 행동 | 결과에 의해 선택된 행동 |
기본단위 | 반사: 선행자극이 특정 반응을 발생시킴(S-R) | 작동적 반응군: 환경에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반응의 집합. 선행자극 조건, 행동, 결과의 3요인 수반(유관)에 의해 기술(A-B-C) |
예시 | 신생아의 잡기 및 빨기 반사, 밝은 빛에 대한 동공 수축, 음식 냄새에 대한 침 반사, 고통스러운 자극에서 손 빼기, 흥분에 의한 성적 각성 등 | 말하기-걷기-피아노 치기, 거스름돈 계산하기, 책읽기, 농담에 웃기 등 |
응용행동분석(상), John o.Cooper, Timothy E. Heron, William L. Heward, 정경미 외 5인 옮김, 시그마프레스
응용행동분석, 이성봉 김은경 박혜숙 양문봉 정경미 최진혁, 학지사
응용행동분석
응용행동분석
www.aladin.co.kr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Paul A, Alberto, Anne C. Troutman, 이효신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www.aladin.co.kr
'특수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 및 특성 (0) | 2024.06.18 |
---|---|
응용행동분석 정의와 특성 7가지 (0) | 2024.05.28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정의, 연속적 행동지원 체계 개념 (0) | 2024.05.27 |
작동적 조건화에 기초한 학습방법-강화, 소거, 벌 등 (0) | 2024.05.27 |
자폐성 장애 교육 환경 구조화 전략 3- 물리적 환경 구조화, 시간 구조화, 사회적 환경 구조화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