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은 언어적인 것, 비언어적인 것, 그림상징체계의 개념을 받아들이고, 보내며,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의사소통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듣기, 언어, 말하기(speech) 등의 과정에서 드러나게 될 장애의 결과일 수 있고, 정도가 가벼운 것에 심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초기 의사소통 발달 특징
눈 응시
생후 3개월 반 정도가 되면 유아의 시각, 운동 기능 체계가 성숙하고 유아들은 자신의 흥미 및 감정을 보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물건, 사람, 사건 사이의 관계에 대해 배우기 위해 눈 응시를 활용한다(Tiegeman & Primanvera, 1984).
자폐스페트럼장애 유아들은 특정한 물체들에 시선을 고정해서 응시하고 주위의 시각적 자극들을 통합해서 보지 않을 수 있다(Dawson, Meltzoff, Wsterling, Rinaldi, $ Brown, 1998; Rincover & Ducharme, 1987).
그들은 물체 전체 보다는 그 일부에 열중할 수 있고 인간의 얼굴보다는 기하학적 패턴을 보는 것을 더 좋아할 수도 있다.
Baron-Cohen과 Baldwin, Crowson(1997)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아들이 화자(speaker)가 눈 응시하는 방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화자가 언급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고 한다. 눈 응시의 문제점들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유아들의 의사소통 발달을 저해한다.
옹알이
일반 유아들은 옹알이를 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상대가 내는 억양과 말소리를 대응시키기 시작하지만 자폐 아동들은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에서 들을 수 있는 언어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따금 부모들은 자녀들이 마치 '농(deaf)인 것처럼 행동'하고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청각장애 여부를 확인하기도 한다(Werner, Dawson, Osterling, & Dinno, 2000).
일부 어린 자폐 아돌들이 반향어(echolalia)를 하는 동안 화자의 억양과 언어를 대응시키기는 하지만, 옹알이는 다르거나 하지 않을 수 있으며 관심을 공유하기 위해 옹알이를 사용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생후 12개월이 될 때까지 옹알이를 하지 않거나 옹알이가 부족한 것은 자폐를 포함한 발달지체의 가능성을 더 평가해 보라는 '경고신호들'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Filipek et al, 2000).
몸짓
일반 유아들은 생후 9개월이 되면 자신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몸짓을 활용하기 시작한다.
성인들의 주의를 끄는데 활용되고, 바라는 물건이나 사건에 주의를 유도하는 몸짓과 소리내기는 의도적 의사소통(intentional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자폐 유아들은 바라는 물건을 얻기 위해 몸짓보다는 유도하기(leading)라고 불리는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Wetherby & Prizant, 2005). 예를 들어, 아동이 무엇인가를 얻기 위해 도움을 바랄 때 그 물건 쪽으로 어른의 손이나 팔을 밀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은 아니며 성인을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해 가리키리를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보여주기, 손 흔들기, 몸짓 손짓하기 등과 같은 동작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참조적인 몸짓의 부족은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있음을 알려 주는 예측인이 될 수 있다(Vostanin et al, 1998).
아동들의 몸짓이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돌들이 의도를 전달하는데 있어 좌절하게 되면 점차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Keen, 2005).
언어 발달의 기본 특성
운동기능 모방의 어려움
모방 기술은 다른 사람이 말한 언어를 처리하는 것으로 자신의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언어를 획득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촉진한다(Stone & Yoder, 2001).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모방하기에 대한 어려움을 보이는데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손을 흔드는 것을 모방할 때 손바닥을 자기 얼굴 쪽으로 향한게 하는 것과 같은 이상한 오류를 보인다(Ohta, 1987).
공동주의집중의 어려움
공동주의집중은 아동들이 다른 사람이 주의를 기울이는 대상을 가려낼 수 있을 때 발생하고, 아동 자신의 흥미를 끄는 무엇인가에 다른 사람이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능력에서도 볼 수 있다(Prizant et al., 2003).
공동주의집중이 언어 획득과 상관관계가 있는 세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의집중은 상호작용에 대한 아동의 욕구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대자의 반응이 주어진다면 공동주의집중은 그 아동의 언어발달과 연계된다. |
둘째, 공동주의집중은 언어를 발달시킬 목적으로 아동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언어를 이끌어 내도록 돕는다. |
셋째, 아동들은 언어 발달을 위해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어른들과 자신의 경험을 나누기 위해 공동주의집중하게 된다.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돌들은 공동주의집중을 끌어내기 위한 다른 사람들의 시도에 반응할 가능성이 낮고 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어떤 물건이나 사건을 바라보게 하려 하지 않는다(McArthur & Adamson, 1996).
사물놀이의 부재
일반적인 아동은 물건이나 사람들을 반복적으로 탐색하고 조작하며 행동들을 변화시키고 결합시키는 방법을 자발적으로 학습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상상놀이나 상징놀이는 복잡하게 발달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은 기능적 놀이는 물론 상징놀이에도 어려움을 보인다(Dauson & Adams, 1984).
예를 들어, 어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마치 장난감 동물들이 동물원에 있는 것처럼 배치하거나 그 장난감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가장하는 대신, 그 장난감들을 일렬로 늘어놓을 수 있다.
상징놀이나 기능적 놀이의 부재는 수용 및 표현언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Sigman & Ruskin, 1999).
기능놀이(기능적놀이. function play): 감각운동기의 어린이가 기능적인 즐거움을 위해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는 단순한 놀이 행동. ex-딸랑이 흔들기, 자동차 굴리기, 컵으로 마시기, 숟가락질하기
반향어(echolalia)
과거에는 반향어가 아무 의미 없는 소리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즉각 반향어(immediate echolalia)는 무엇인가 이해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능적 목적으로 사용된다(Prizant & Duchan, 1981).
지연반향어(delayed echolalia)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다(Rydell & Prizant, 1995).
즉각반향어의 기능 | |||
상호작용적 | 차례지키기 | 번갈아가며 언어를 교환하는데 있어 화자가 바뀔 때 사용 | |
진술 | 물건들이나 행동들, 혹은 장소를 명명하는데 사용 | ||
긍정대답 | 이전에 나왔던 말을 확인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 | ||
요청 | 물건이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요청하는데 사용. 보통 가벼운 형태의 반향어 포함 | ||
비상호작용적 | 분명치 않음 | 분명한 의도 없이 산출되는 말 | |
시연 | 처리를 위한 보조도구로 사용되는 말로 반향된 말을 이해했음을 가리키는 말이나 행동이 뒤따름 | ||
자기조절 | 자신의 행동들을 조절하는 데 사용하는 말. 운동기능을 이용한 행동과 동시에 산출됨 |
지연반향어의 기능 | ||
비목적적 기능 | 아무 목적이 없으며 자극적이다. | |
상황연상 | 물체나 사람 또는 행동에 의해서 초래되는 반향어이다. | |
연습 | 언어적 형식을 갖춘 문장을 연습하듯이 반복한다. 대게 낮고 작은 소리로 연습하는 경향이 있다. | |
자기지시적 | 대게 활동을 하기 전이나 활동을 하면서 반향어를 하는데, 연습에서처럼 다소 작은 소리로 한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인지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비상호적 명명 | 행동이나 사물에 대해 명명한다. 상호적인 명명과 유사하지만, 이 경우에는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처럼 보이며 의사소통 의도가 보이지 않는다. | |
순서 지키기 | 교대로 말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구어 순서를 채우는 기능을 한다. 의사소통 의도는 관찰되지 않는다. | |
발화완성 | 상대방에 의해서 시작된 일상적인 말에 반응하여 그 발화를 완성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 |
상호적 명명 | 대게 제스처를 동반하여 활동이나 사물을 명명한다. | |
정보제공 | 상대방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준다. | |
부르기 |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상호작용을 유지하려는 기능을 갖는다. 상대가 보지 않으면 계속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 |
수긍 | 상대방의 말을 수긍하는 기능을 갖는다. 대개 바로 전에 말한 것을 행동에 옮긴다. | |
요구 |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하여 요구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대개 원하는 물건을 바라보면서 말하며 그 물건을 얻을 때까지 계속한다. | |
저항 | 다른 사람의 행동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행동을 저지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
지시적 | 다른 사람의 행동을 지시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
언어 영역별 특성
자폐아동들에게 내요, 형식, 사용 등은 어려운 영역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의 약 35~40% 정도가 어떠한 기능적 또는 의사소통적 언어를 발달시키지 못하고 있다(Mesibov, Adams, &Klinger, 1997).
구어가 발달된 자폐스펙트럼장애인들은 어휘 면에서 진보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눈응시, 신체언어, 얼굴 표정 등과 같은 화용론적 요소들에는 계속해서 어려움을 보일 것이다(Loveland & Tunali-Kotoski, 1997 et al).
자폐아동의 언어적 특성 | |
언어 영역 | 내용 |
의미론적 측면 | - 어휘의 의미가 매우 제한적이다. - 과잉축소/과잉확대 현상이 잦다. - 추상적인 단어 습득이 어렵다. - 격언과 속담 등의 이해가 어렵다. |
구문론적 측면 | - 전보식 문장을 사용한다. - 기능어의 사용이 어렵다. - 문장의 시제 사용이 어렵다. - 문장이 단순하고 짧으며 문법적 오류가 많다. |
화용론적 측면 | - 존칭 사용이 어렵다. - 인칭대명사의 사용이 어렵다. - 상대방의 생각이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한다. - 대화에서 주고받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질문에 대해서만 반응하는 수동적 대화태도를 보인다. - 대화 주제를 유지하기 어렵다. - 대화를 자발적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
준언어적 측면 | - 억양이 단조롭다. - 평서문과 의문문의 억양에서 차이가 없다. - 리듬과 강세가 없다. - 말에서 쉼이 문맥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
자폐스펙트럼장애학생 교육의 실제 신현기, 이성봉, 이병혁, 이경면, 김은경 옮김 시그마프레스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교육의 실제 | L Juane Heflin - 교보문고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교육의 실제 |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이 확대되면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자폐스펙트럼장애로 판별되는 학생들이 많이 늘고 있다. 『자폐스펙트럼
product.kyobobook.co.kr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 고은 - 교보문고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 『의사소통장애아 교육』은 〈의사소통장애의 기초적 이해〉, 〈의사소통장애의 유형별 특성 및 지도방법〉, 〈장애아동의 언어적 특성 및 지도방법〉을 수록하고 있는
product.kyobobook.co.kr
'특수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용행동분석 정의와 특성 7가지 (0) | 2024.05.28 |
---|---|
수동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수동적 행동과 작동행동 (0) | 2024.05.28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정의, 연속적 행동지원 체계 개념 (0) | 2024.05.27 |
작동적 조건화에 기초한 학습방법-강화, 소거, 벌 등 (0) | 2024.05.27 |
자폐성 장애 교육 환경 구조화 전략 3- 물리적 환경 구조화, 시간 구조화, 사회적 환경 구조화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