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이론

응용행동분석 정의와 특성 7가지

by 바다에 빠진 귤껍질 2024. 5. 28.

응용행동분석 정의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 : ABA)는 인간행동의 이해와 증진을 위한 과학이다.

ABA 는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을 밝혀내고 이를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과학에 근거한 행동변화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과학적 접근이다.

Cooper, Heron, Heward(1987)의 정의를 살펴보자.

응용행동분석이란, 행동의 원리로부터 도출된 절차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을 유의한 정도로 개선하고, 또 사용된 절차가 행동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과학이다.

 

응용행동분석의 정의에 나타난 핵심요소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행동분석의 실천원리는 과학적 태도와 방법에 있다.

행동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경험을 통하여 학습되며 효율적 통제를 통하여 추출된 과학적 지식은 언제든지 새로운 사실의 발견으로 대치될 수 있다는 연구자의 태도가 요구된다.

 

둘째, 행동변화의 절차와 방법은 체계적이며 기술적인 방식으로 진술되고 적용된다.

즉, 행동과 환경자극 간의 기능적 관계를 분석적으로 탐색하고, 사용된 모든 절차와 방법은 철저히 확인되고 정확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셋째,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서 모두 응용행동분석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오직 행동의 원리로부터 추출된 절차와 방법에만 국한된다.

 

넷째, 응요행동분석의 주요 관심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에 있다.

즉, 실험행동분석에서와 달리 응용행동분석에서는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중요한 행동이 연구대상이다.

 

다섯째, 응요행동분석의 일차 목적은 행동의 개선이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을 유의한 수준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여섯째, 응용행동분석의 이차 목적은 사용된 절차와 방법이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는 것이다.

 

응용행동분석은 행동을 다루는 학문인 행동주의(Behaviorism)에 근간을 두고 있다.

행동주의는 객관적인 관찰과 예측가능한 행동을 통해 인간의 심리를 연구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행동주의는 사람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하는지를 연구한다.

그렇다면 '행동'이란 무엇인가?

행동은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모든 것이다.

만약 자녀를 키우는 부모에게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물으면 웃고, 울고, 투정 부리고 장난치는 등 여러 행동을 말할 것이다. ABA는 아이가 하는 모든 것을 행동으로 간주한다.

행동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변하지 않고 그대로 있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행동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가 생겼을 때는 주변의 어떤 환경이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내야 한다.

그래야 행동변화에 영향을 준 환경 요소들을 제어하여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ABA의 역할이다.

행동주의에 근거한 용어에는 행동수정, 응용행동분석, 행동치료가 있다.

행동수정은 동물대상의 실험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본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인간행동을 분석하고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실험행동분석 또는 행동분석이라고 한다.(Skinner. 1953. 1966)

인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실험적 인간행동분석 또는 응용행동분석이라고 한다.

Baer, Wolf, Risley(1968)는 [Jo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창간논문에서 응용행동분석이라는 논문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행동수정은 교육 및 의료현장에서 행동치료라고 하기도 한다.

응용행동분석의 원리를 배우고 실행하는 교사는 학생이 체계적이고 교육적인 방식으로 기능적, 학업적 기술을 숙달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부모나 다른 전문가에게 학생의 진전을 증명해 보일 수 있다.

또한 학생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또래나 성인과 잘 지내도록 가르칠 수 있으며 훌륭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응용행동분석의 특성

응용적 연구(Applied Research)

'응용'은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증진시키는 행동의 개선에 힘써야 함을 강조한다.

응용행동분석에서는 사회적 중요성을 가진 행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환경에서 연구가 진행된다.

행동의 원리를 추출하는 실험연구에서는 '지렛대 누르기'나 '버튼 쪼기'와 같이 행동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어떤 행동이든 수반되는 음식에 의하여 증가될 것인지 아닌지를 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응용연구는 어떤 행동을 변화시킬 것인지, 행동 자체가 중요하다.

피험자 또는 내담자의 사회생활과 적응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친구가 없는 아동에게는 또래를 사귈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다.

친구가 없는 아동에게 지렛대 누르는 행동은 아무 의미도 없고 쓸모 없는 일이다.

실제로 응용행동분석 연구에서 다루어 온 표적행동을 살펴보면 대인관계 행동, 언어습득과 활용, 자조행동, 여가와 운동기술, 자녀양육 기술, 언어습득과 활용, 에너지 절약, 학습행동, 의상선택기술 등 모두 실제 사회생활과 적응에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행동들이다.

행동적 연구(Behavioral Research)

Baer 와 동료들은 행동적 기준에 관련한 세 가지 사항을 강조하였다.

첫째, 선정된 행동은 개선이 요구되는 바로 그 행동이어야 한다.

유사한 다른 행동이나 행동에 대한 언어적 약속을 표적행동으로 선정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동생을 때리는 빈도를 줄이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하며, 동생을 때리지 않겠다는 언어적 약속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둘째, 행동은 반드시 측정 가능해야 한다.

관찰이 불가능하거나 행동이 아닌 문제는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의 문제로 목표를 재설정하여 연구해야 한다.

셋째, 행동변화가 관찰되었을 때 누구의 행동이 변화되었는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관찰자의 행동이 변화했을지도 모르므로 반드시 연구와 관련된 모든 사람의 행동을 관찰해야 한다.

흔히 많은 연구에서 피험자의 행동이 변화된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오류로 관찰 측정치만 변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찰자 요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항상 관찰의 신뢰도(일치도)를 높이는데 신경 써야 한다.

분석적 연구(Analytic Research)

'분석적'은 측정가능한 범주에서 실험자가 조작된 사건과 목표행동 사이에 발생하는 변화의 기능적 관계를 말한다.

'분석적연구'는 행동의 발생과 비발생을 실험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하며 실험자는 반드시 행동의 발생과 비발생을 통제해야 한다.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그 행동이 실제 생활환경에서 어떤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 면밀히 관찰하여 그 행동의 기능성을 평가한다.

또한 연구자는 실험변수를 조작함으로 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한다.

'분석적'이라는 특징은 ABA 효과성에 대한 증거일 뿐만 아니라 이를 기본으로 하는 개입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결과 사이의 기능적이고 반복적인 관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기술적 진술(Technical description)

'기술적'은 다른 사람이 똑같은 연구결과를 낼 수 있도록 연구의 모든 실행절차를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절차와 방법은 철저히 확인되고 정확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만일 진술된 절차와 방법을 읽고도 아직 질문할 것이 남아있다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진술되었다고 평가될 수 없다.

행동중재는 반복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결과를 볼 수 있는 개입이라도 반복될 수 없다면 기술적이라고 간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떼 쓰는 아이를 떼 쓴 시간에 10분을 더한 시간만큼 방 안에 가두어 둔다고 하자. 만약 아이가 그보다 일찍 방에서 도망치려고 하거나 창문을 발로 차거나 방에 대변을 본다든가, 목졸리는 소리를 내기 시작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절차를 기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확한 기술적인 묘사라고 할 수 없다.(Baer et al. , 1968, pp.95~96)

개념적으로 체계적(conceptually systematic)

'개념적으로 체계적'은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중재가 행동의 기본원리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Baer와 동료들은(1968) 응용행동분석에서 개념적 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첫째, 특정 절차를 기본적 원리와 연관시킴으로써 연구자가 같은 법칙으로부터 비슷한 절차를 도출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둘째, 기술이 개별 방법의 합이 아닌 통합된 원칙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적 체계가 필요하다.

개별방법이 그냥 합쳐지게 되면 배우고 가르치는게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효과적(effective)

응용행동분석에서 중재방법을 '효과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중재방법이 표적행동을 변화시켜 반드시 임상적 혹은 사회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줘야함(표적행동의 변화가 실용적 수준에 도달함)을 말한다.

이론적 효과의 검증은 의미가 없고 실제로 내담자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의미있게 변화되는 것이 핵심적 기준이다.

이론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면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응용연구에서는 임상적 및 사회적 유의성이 입증되어야만 효과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Baer 와 동료들은(1987) ABA 의 효과는 표적행동의 변화 정도가 그 행동을 목표로 선택한 이유에 큰 변화를 주었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가자의 삶에서 그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ABA 는 효과성의 한 수준만 달성한 것이며 사회적 타당성을 달성하지 못한것이다.(Wolf, 1978)

수많은 사회기술훈련을 할 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실제로 그 기술이 대상자들의 사회적 삶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지 않고 가르쳐 온 것이 사실이다. 다른 사람들이 대상자의 예절이 더 좋아졌다고 실제로 생각하느냐, 대상자가 전보다 더 안전한가, 대상자가 전과 다르게 습득한 언어기술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가, 그 과제에 이전보다 집중하는가, 그리고 그 기술이 대상자의 후속적인 생존능력을 증진시키는가?(Baer et al., p.322)

일반화 효과(generalization)

일반화 효과란 행동의 변화가 장시간 지속되거나 치료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다른 환경에서도 나타나거나 또는 직접 치료를 받지 않은 다른 행동에도 전이 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즉 치료적 처치가 종료된 후에도 변화된 행동이 지속될 때, 그리고 치료적 효과가 임상적 상황을 넘어 치료를 받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생할 때 일반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또한 치료의 효과가 치료의 대상이 아니었던 유사한 행동에도 영향을 줄 때 일반화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다.

일반화란 응용행동분석 연구에서 항상 기대하는 바람직한 결과지만, 그것은 자동으로 따라오는 결과는 아니다.

'일반화'는 시간의 일반화, 환경의 일반화, 행동의 일반화가 있다.

바람직한 행동변화의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프로그램의 중요한 결과이다.

왜냐하면 일반화는 추가적인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응용행동분석 발전배경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응용행동분석 연구에서는 행동의 동기나 원인분석에는 별반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부적응 행동의 학습 과정이나 원인 요인의 탐색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지 않았다.

이유는 강력한 혐오자극을 임의로 선정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통제하거나, 아니면 바람직한 새로운 행동을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보상체계를 환경에 임의로 재배열한다면 문제행동은 사라지고, 바람직한 새로운 행동이 그 자리를 대체할 것으로 확신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차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임의로 선정된 정적강화로 상반행동이나 대체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문제행동에 직접 벌을 주는 것보다 비효과적이라는 점이 보고되었다(U.S.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89).

둘째, 일시격리와 같은 벌은 어떤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오히려 역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공부가 하기 싫어 짜증을 내며 소리치는 아동을 밖으로 내보낸다면 오히려 도피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된다.

셋째, 문제행동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벌은 이제까지 그 문제행동을 유지하여 온 어떤 강화제보다 월등하게 강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혐오자극과 연관된 벌의 사용은 인권과 관련하여 법적, 도덕적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극히 제한되고 있다(Repp & Singh, 1990; Underwood, Figueroa, Thyer, & Nzeocha, 1989).

이와 같이 임의로 선정된 표적행동과 강화체제가 벌보다 효과가 없고 벌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 뿐만 아니라 심각한 인권 문제와 윤리 문제를 야기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문제행동이 원인과 학습과정을 밝힐 필요성을 강조하기에 이르렀고 효과적인 강화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문제행동의 기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발달장애 아동의 심각한 문제행동을 치료하려는 연구 경향은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즉, 문제행동을 강화하거나 유지시키고 있는 환경적 요인을 확보한 다음, 바로 그 요인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다(Carr, 1977; Iwata, Dorsey, Slifer, Bauman, & Richman, 1982, 1994; Johnson & Baumeister, 1978).

만일 문제행동을 유지시키고 있는 강화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면, 바로 그 강화요인을 바람직한 대체행동에 후속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주로 정적강화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쉽게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Vollmer, Zarcone, Iwata, Smith, & Mazaleski, 1993).

이와 같은 문제행동의 기능적 특성을 치료에 활용한다면 벌과 같은 부정적 혐오자극을 사용하지 않고 정적강화만으로 발달장애 및 자폐성 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Neef & Iwata, 1994).

 


응용행동분석의 특성과 발전배경, 홍준표, 2014

응용행동분석(상), John o.Cooper, Timothy E. Heron, William L. Heward, 정경미 외 5인 옮김, 시그마프레스

 

응용행동분석 - 상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행동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고 변화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원칙과 절차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책으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사회적인 적응 행동을 가

www.aladin.co.kr

 

응용행동분석, 이성봉 김은경 박혜숙 양문봉 정경미 최진혁, 학지사

 

응용행동분석

응용행동분석

www.aladin.co.kr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Paul A, Alberto, Anne C. Troutman, 이효신 옮김, 학지사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