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이론20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근거한 지적장애 교수법- 또래교수/협동학습/협력교수/교수적 비계/상보적교수/모델링 구성주의는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구성주의 입장에서 볼 때, 학습자들은 학습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탐색, 추구하는 능동적인 유기체이다.즉, 교수-학습의 중심은 당연히 구성의 주체인 학습자에게 있으며, 학습하는 삶의 주체가 바로 학습자 자신인 것이다.무엇을 학습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도 교사가 아니라 학생 자신의 목적과 기대에 다려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의미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구성주의의 학습원칙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 내용전개 및 평가에 참여하는 체험학습이어야 한다는 것과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들 간의 토론, 대화, 상.. 2024. 5. 27.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근거한 지적장애 교수법- 발견학습/정보처리모델/인지적교수/ 인지주의 학습이론에서 학습이란 사람들이 말하고 행동하는 것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내면의 정신적인 현상으로 정보의 정신적인 처리를 중요시하여 구조, 습득, 조직, 부호화, 암기, 저장, 기억으로부터의 인출, 망각을 중요하게 여긴다.인지주의 학습이론은 학습자의 외현적 행동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인 행동주의 학습이론과는 달리, 학습자들이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지와 같은 학습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 즉 인간의 정신적 과정에 관심을 둔다. 인지주의 학습이론에서 학습자는 수동적으로 환경의 자극에 반응하는 존재가 아닌, 주도적으로 자신의 목적에 맞게 주어진 정보를 활용하는 의도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여겨진다(Schallert & Martin, 2003).따라서 인지주의 학.. 2024. 5. 27.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3가지- 협동학습, 또래교수, 보편적학습설계 특수교육법에서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이다. 또한 "특수학급"이란 특수교육대상자의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을 말한다.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소가 매일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곳에서 가능하다(Giangreco, 2011).첫째, 모든 학생은 일반교육에서 수용되기둘째, 장애는 다양성의 한 형태로 인식하기셋째,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관계없이 적절한 지원 제공하기넷째,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적절한 비율 구성하기다섯째, 발달과 수행 정도에 관계없이 적절한 지원 제공하기여섯째, 발달과 수행정도에 관계없이 같은 연령의 또래와 교육받기 그러나 .. 2024. 5. 24.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와 보완 대체 의사소통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 전통적인 언어중재방법은 구조화된 개인지도 접근을 시도하여 아동의 어휘수 증가, 발화길이 증가, 조음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지만 일상 환경이나 실제 대화 상황에서 일반화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나타내었다(Hert & Risley, 1980; Hemmeter & Kaiser, 1994). 환경중심언어중재는 기능적인 언어기술을 교수하기 위한 자연적인 전략으로(Kaiser, Yoder, Keetz, 1992),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아동의 환경 속에서 아동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서 언어중재를 한다는 포괄적인 중재 접근방법이다(김윤정, 2011).  환경중심언어중재는 언어 사용 환경을 구조화하고 학생이 흥미를 보이는 사물이나 사건 속에서 교사와 자연스럽게 대.. 2024. 5. 24.